전체 글
-
[201007~08] 양도세 이슈 (+41.48%)매일 매매 결과 2020. 10. 8. 23:57
20107~08 기준, 166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53.00원 (-4.50) 국고채 3년물 : 0.9070% (-0.0030) 누적 수익률 : +41.48% 누적 수익금 : +15,140,786원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판 흔들기 1. 트럼프의 변덕 2. 춤추는 미국 시장 3. 의외로 VIX는 하락 트럼프의 변덕스러운 트윗에 따라 미국 시장도 덩달아 변덕스럽다. 10/07, 트럼프의 경기 부양책 협상 중단 트윗에 따라 미국 시장은 장 후반 급락했다. 10/08에는 트럼프가 트윗으로 의회가 항공산업 지원을 위해 250억 달러를 승인해야 하며, 국민 1인 당 1,200달러 지급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덕분에 미국 시장은 하루 만에 전일 하락분을 거의 메꾸며 급..
-
[201006] 영웅 시나리오 (+39.89%)매일 매매 결과 2020. 10. 6. 22:29
201006 기준, 164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62.00 원 (-1.00) 국고채 3년물 : 0.9050% (+0.0240) 누적 수익률 : +39.89% 누적 수익금 : +14,563,081원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시나리오 1. 트럼프 복귀 2. 5차 부양책 쿵짝쿵짝 3. 바이든...? 트럼프가 설계한 시나리오대로 되고 있다. 코로나 19에 감염된 지 불과 4일 만에 백악관 복귀를 선언한 트럼프. 거기에 트럼프 행정부와 민주당 펠로시의 5차 추가 부양책 쿵짝쿵짝도 계속되고 있다. 불확실성 해소와 부양책 기대감에 미국 시장은 뜨겁게 달아올랐다. 일각에선 바이든의 우세를 점치고 있다. 하지만 어제도 말했듯 미국은 영웅 시나리오를 가장 좋아한다. 코로나 19라는..
-
[201005] 트럼프의 노림수? (+40.55%)매일 매매 결과 2020. 10. 5. 21:49
201005 기준, 163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63.00원 (-7.00) 국고채 3년물 : 0.8810% (+0.0350) 누적 수익률 : +14,800,921원 누적 수익금 : +40.55%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난장판 1. 난장판 대통령 후보 토론회 2. 민주당의 노림수 3. 트럼프 코로나 19 감염 우리나라 추석 연휴 기간 내내 이슈가 넘쳐났다. 트럼프와 바이든의 대선 후보 토론회는 막말 퍼레이드 잔치였다. 이 때문에 미국 야간 선물은 급락했었다. 금요일에는 미국 민주당이 2.2조 달러 부양책은 하원에서 통과시켰다. 상원을 장악하고 있는 공화당은 이를 절대 용납하지 않으리란 시각이 팽배했다. 민주당을 이끌고 있는 펠로시의 노림수인데, 변수가 발생했다. ..
-
[200929] 꺼지지 않은 불씨 (+37.61%)매일 매매 결과 2020. 9. 29. 23:37
200929 기준, 162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70.00원 (-4.00) 국고채 3년물 : 0.8460% (+0.0030) 누적 수익률 : +37.61% 누적 수익금 : +13,730,641원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SHOW ME THE MONEY 1. 피어나는 기대감 2. 유기농 조정? 3. 대선 토론회 미국 재무부와 민주당이 추가 부양책 협상을 재개하면서 시장에 기대감이 피어나고 있다. 대선이 있는 11월 전후로 지급한다는 게 시장의 중론인데, 협상의 키를 쥐고 있는 민주당 입장에선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게 많이 걸린다. 다만, 꺼지지 않은 추가 부양책 불씨는 시장을 안정시키고 있다. 미국 시장은 기술주 급락 이후 다시 안정적인 흐름 이어가고 있다. 기술주..
-
[200928] 파도타기 할 때인가? (+34.63%)매일 매매 결과 2020. 9. 28. 17:10
200928 기준, 161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74.00원 (+3.00) 국고채 3년물 : 0.8430% (-0.0120) 누적 수익률 : +34.63% 누적 수익금 : +12,640,541원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악재에도 불구하고 1. 산적한 악재 2. 부진한 경제 지표 3. 대형 기술주 저가 매수세 유입 악재 다발에 묻힌 미국 시장은 예상외 상승 마감했다. 연방 대법관 지명 이슈로 트럼프와 민주당이 계속 부딪히고 있다. 트럼프는 강행하려 하고, 민주당은 대선 이후 대통령이 새로운 대법관을 지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지율이 애매한 트럼프 입장에선 대선에 실패할 경우 대비하여 자신이 유리한 인물을 대법관으로 지명하고 싶은 것이다. 또한, 유럽의 코로나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