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수료 무료 증권사 비교] 증권사 수수료는 100% 무료가 아니다.정보 2020. 6. 20. 11:14반응형
코스피 월봉 차트, 코스피는 무려 5년 동안 박스권에 갇혔었다. ◇ 증권사 수수료 전쟁
우리나라 증권사 주 수입원은 고객의 증권 매매 수수료였다. 해서 1990~2010년 초까지 우수한(?) 증권사 직원은 주식 추천 명목으로 고객에게 과당매매(심하게 빈번한 매매)를 부추겨 막대한 수수료를 얻어냈다. 물론 고객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 우리나라 시장(코스피, 코스닥)은 오를만하면 내리고 내릴만하면 또 오르는 일명 박스피(BOXPI)에 갇혀 5년 동안 매우 지루한 횡보 흐름을 이어갔다. 당연히 개인은 주식 시장을 외면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증권사는 수수료 무료 혜택을 내세워 고객을 모집했다. 단, 일정기간인 3, 5, 10년 동안만 무료로 하고 그 이후에는 정상 수수료를 받는 조건으로. 여기에 파동을 일으킨 것이 NH투자증권의 모바일 증권 브랜드 나무(NAMUH)다. 지루한 박스피를 벗어날랑 말랑 하는 2017년 가을, 나무는 평생 수수료 무료 혜택으로 고객을 흡수하기 시작했다. 이에 질 수 없는 국내 타 증권사들도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수료 무료 혜택 전쟁에 참여하게 된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수수료 100% 무료는 아니다. 바로 유관기관 제비용(수수료)은 제외라는 문구가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이 유관기관 제비용 때문에 국내 증권사는 더이상 수수료 무료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대신 수수료 혜택, 우대라는 말로 바꿔 홍보하고 있다. 금융 당국의 점검이 있었기 때문이다.
◇ 유관기관 제비용?
우리나라 증권 관련 유관기관은 한국거래소(KRX)와 한국예탁결제원(KSD) 2곳을 의미한다. 증권사는 고객이 주식을 매매(매수, 매도)할 때마다 건당 수수료를 2개 기관에 납부하게 된다. 이것이 유관기관 제비용이다. 현재 한국거래소 0.0027209%, 예탁결제원 0.0009187%. 합산 제비용은 0.0036396%이며 전 증권사 공통이다. 참고로 19년 10월 전자증권제도 시행으로 예탁결제원의 수수료는 0.001066%에서 인하되었다. 0.0036396%는 전 증권사 공통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래 증권사 수수료 비교에서 보면 알겠지만 증권사마다 유관기관 제비용이 제각각이다. 합리적인 소비자라면 당연히 가성비를 따져 나에게 유리한 증권사를 선택해야 한다. 솔직하게 말해서 국내 증권사 HTS, MTS 기능은 세계 원탑 급이다. 어떤 증권사를 선택해도 무방하단 의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유관기관 제비용이 가장 저렴한 곳을 선택해야 하지 않을까?
◇ 평생 우대, 혜택 증권사 제비용 비교
# 주식, ETF, ETN 매매 비용(원)은 1,000만원 매수 후 1,000만원에 매도 가정.
비용
저렴한
순위증권사
주식
제비용
(%)ETF,
ETN
제비용
(%)주식
매매
비용(원)ETF, ETN
매매
비용(원)1
한국투자증권
0.0036396%
0.0042087%
728
842
1
삼성증권
0.0036396%
0.0042087%
728
842
1
신한금융투자
0.0036396%
0.0042087%
728
842
4
SK증권
0.0043976%
0.0049667%
880
993
5
KB증권
0.0044792%
0.0050483%
896
1,010
6
KTB투자증권
0.005%
0.005%
1,000
1,000
7
나무증권
0.0050319%
0.0050319%
1,006
1,006
8
케이프투자증권
0.00663%
0.00663%
1,326
1,326
9
하이투자증권
0.009%
0.009%
1,800
1,800
* 주식의 경우 매도 시 0.23%(2021년부터 0.23%로 인하)의 증권거래세가 추가로 있으며 ETF, ETN은 증권거래세 없음.
* 2020년 06월 20일 기준 비대면 계좌 개설 시 평생 우대, 혜택 이벤트 제공하는 증권사만 표기하였으며 매매비용 소수점은 반올림하였음.
표를 보면 알겠지만 주식 기준 순수하게 유관기관 제비용'만' 받는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가 투자자(혹은 투기꾼)에게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식 기준 1일 1회 매매(1,000만원 매수 후 1,000만원 매도 가정) 1년(240 거래일 가정) 동안 했을 시 제비용 저렴한 증권사 제비용은 약 174,720원. 최하위 증권사 제비용 약 432,000원. 차액은 약 257,280원 가량이다. 표는 유관기관 제비용이 저렴한 순으로 정렬하였으며 제비용이 같다면 19년 매출액 순으로 정렬하였다. 매출액이 작은 중소형 증권사는 위험이 있다. 증권사 예수금이 예금자보호가 된다 하더라도 한도가 5천만원이다. 그 이상을 투자한다면 매출, 자산 규모가 있는 메이저 증권사를 추천한다. 참고로 나는 MTS UI와 브랜드가 마음에 들어 삼성증권을 주로 이용한다. 가능하다면 여러 증권사 계좌를 미리 만들어두는 것을 추천한다. 증권사와 나는 이해관계가 전혀 없음을 밝힌다.
여담) 오랜만에 증권사 객장을 방문하게 되었다. 남녀노소 수많은 사람이 대기 중이다. 이것이 동학개미운동이구나 느꼈다. 대부분 지점 계좌 개설하려 하고 있다. 해당 증권사 지점 계좌 개설하여 1,000만원 매수 후 1,000만원에 매도시 수수료는 약 31,443원. 비대면 계좌 개설 후 같은 조건으로 매매 시 제비용(수수료) 728원. 그 비용 차이가 무려 43배가 넘는다. 몇몇 양심 있는(?) 증권사 직원은 고객에게 스마트폰으로 직접 비대면 계좌 개설을 도와주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의 신규 고객은 귀찮다는 이유로 끝내 지점에서 계좌 개설하고 있었다. 살벌한 주식 시장에 시작부터 지고 들어가는 것인데, 이러한 현상이 너무 안타까워 본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다.
Copyrightⓒ BARIOZE All Rights Reserved
[미국 ETF] TQQQ & SQQQ, 주식으로 월급 만큼 벌어보자
*주의 : TQQQ와 SQQQ는 미국 나스닥 100 지수 ±3배 추종 고위험 ETF이다. ◇ TQQQ & SQQQ ? 나스닥 100 지수 : 나스닥 기술주(금융주 제외) 상위 100개 종목으로 지수를 만든 것이다. 우리에게 친숙한 마이크�
barioze.tistory.com
[이슈] 요즘 사람들이 왜 주식에 미친 듯이 몰리는 걸까?
◇ 뉴 노멀 시대와 영끌 대출 저 성장, 저 금리, 저 물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선진국 사람들은 뉴 노멀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IMF 환란을 겪으며 일 자리 양극화(정규직, 비�
barioze.tistory.com
WTI 원유 선물과 나스닥 선물이 거래되는 'CME 그룹'
2019년 전 세계 파생상품 거래량 TOP 10 ◇ CME 그룹? Chicago Mercantile Exchange GROUP(시카고 상업거래소)은 세계 최초 선물 거래소이며 세계 최대 규모의 파생상품을 거래하는 거래소이다. 뉴욕 상업 거래
barioze.tistory.com
728x90'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 개인 공매도 허용? 곱버스 시즌 2 (6) 2020.12.05 [미국 ETF] TQQQ & SQQQ, 주식으로 월급 만큼 벌어보자 (26) 2020.06.07 [이슈] 불법 FX마진거래 피해 속출중 (7) 2020.06.02 [이슈] 요즘 사람들이 왜 주식에 미친 듯이 몰리는 걸까? (4) 2020.05.24 WTI 원유 선물과 나스닥 선물이 거래되는 'CME 그룹' (2) 2020.05.19 □ 다른 사람이 흥미롭게 본 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