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0년 7월 마감] 로켓 발사 전?월간 매매 결과 2020. 8. 2. 12:29
매매 기간 : 200701~200731 (23 거래일) 7월 초반만 해도 시장이 슈팅하려는 움직임 보였다. 핫한 SK 바이오팜 상장 효과로 바이오·제약주에 시세 분출이 일어나는듯한 움직임 보였다. 중국 상하이 증권 시장도 몇 년 만에 오버 슈팅 나오며 다시 불타오르나 싶었다. 실적 발표 시즌에 대형주들의 실적도 어닝 서프라이즈였다. 게다가 우리 정부의 뉴딜 정책도 발표되었다. 코로나 19가 종식되진 않았지만 발표되는 호재 기대감으로 시장 참여자들은 슈팅을 기다렸다. 하지만 예상외로 시장은 움직여주지 않았다. 우리 시장을 핸들링하는 외국인은 선물옵션 시장에서 계속 상방 포지션 취하고 있다. 기관은 여전히 하방 포지션이다. 이 두 세력의 충돌 속에 우리 시장은 이도 저도 아닌 움직임 보였다. 해외 악재로 우..
-
[200731] 최악의 GDP와 어닝 서프라이즈 (+44.05%)매일 매매 결과 2020. 7. 31. 19:08
200731 기준, 121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90.00원 (-4.00) 국고채 3년물 : 0.7960% (-0.0030) 누적 수익률 : +44.05% 누적 수익금 : +16,078,589원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최악의 GDP 그러나... 미국 역사상 최악의 성장률 -32.9% (2분기 QoQ). 하지만 시장에서 예상했던 것보단 덜했다. 시장은 과거, 현재 보다 미래를 본다. 3분기 발표치는 기저 효과로 급상승할 것이다. 시장은 이를 더욱 기대하고 있다. 미국 시장은 전체적으로 혼조세였으나, 독일 GDP 쇼크를 만회하는 강한 흐름 보였다. 특히 어제 나스닥 선물은 장전 -1% 넘게 하락하고 있었지만 장 시작 후 다 말아 올려 상승 마감했다. 게다가 장 마감..
-
[200730] 독일 GDP 쇼크 (+43.34%)매일 매매 결과 2020. 7. 30. 21:20
200730 기준, 120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94.00원 (+1.00) 국고채 3년물 : 0.7990% (-0.0120) 누적 수익률 : +43.34% 누적 수익금 : +15,820,840원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GDP 쇼크 모두의 예상대로 미국 기준 금리는 동결되었다. FOMC 이후 파월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Fed가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전력하겠다고 밝혔다. 즉, 시장에 유동성은 계속 공급될 것이다. 코로나 19가 끝나기 전까지 말이다. 이에 안심한 미국 시장은 안정적인 흐름 보이며 상승 마감했다. 하지만 오늘 아시아 시장은 우리나라 외엔 크게 상승하지 못했다. 미국 선물 흐름도 개시 후 쭈욱 하락세 면치 못하였으며, 중화권 시장도 영 힘을 쓰지 못..
-
[200729] 돌아오는 외국인? (+43.28%)매일 매매 결과 2020. 7. 29. 23:30
200729 기준, 119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93.00원 (-4.50) 국고채 3년물 : 0.8110% (-0.0020) 누적 수익률 : +43.28% 누적 수익금 : +15,799,601원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오락가락 맥도날드, 3M 등이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는 실적 발표, 1조 달러 규모의 5차 경기부양책이 난항을 겪으며 딜레이. 미국 시장은 이에 실망한 매물 쏟아지며 하락 마감했다. 엊그제는 경기 부양책 마무리되었단 뉴스로 상승했다가 하루 만에 같은 뉴스로 반락. 요즘 보합 움직임 보이는 미국 시장이 조울증에 걸린듯한 모양새다. 우리 시각으로 30일 새벽에 FOMC 정책이 발표된다. 사실 어제 하락은 5차 경기 부양책 딜레이는 핑계이고 FOMC 발표..
-
[200728] 진한 숏커버링 냄새 (+44.59%)매일 매매 결과 2020. 7. 28. 21:09
200728 기준, 118 거래일 째 원/달러 환율 : 1,197.50원 (+1.00) 국고채 3년물 : 0.8130% (+0.0100) 누적 수익률 : +44.59% 누적 수익금 : +16,276,532원 투자 원금 : 36,500,000원 ◇ 해외 시장 - 5차 부양책 협상 마무리 미국 시장은 추세상 반등해줘야 할 중요 자리에서 5차 부양책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는 뉴스에 반응하며 상승 마감했다. 그 규모는 1조 달러(약 1,198조원)로 당초 시장이 기대한 3조 달러보다 못하지만 어찌 되었건 유동성이 다시 공급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중요 경제지표인 내구재 수주(6월)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기에 모더나가 3만명을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 19 백신 임상 3상에 돌입하며 시장 분위기 띄웠다. ..